'OpenStack'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8.08.02 :: 오픈스택 기본 구성
본 포스팅은 개인적으로 필요한 내용 정리하려고 만든 것이기 떄문에 정확한 정보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 내용을 작성 시점에는 접한지 얼마안된 초보이기 때문에 저와같이 막 접하시는 분들에게 공유하려고 작성합니다. 이점 참고하여 봐주시고 잘못된 내용에 대해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픈스택 전체 구성도.
오픈스택은 기본적으로 여러 프로젝트들이 함께모여 운영되고있습니다.
오픈스택을 최소구성으로 운영하기위해서는 3가지 노드가 필요하는데 프로젝트별로 다릅니다.
Havana openstack 경우에는 컨트롤러노드,네트워크노드.계산노드 로 구성됩니다. Juno openstack의 경우에는 컨틀롤러 노드,저장소노드.,계산노드가 필요합니다. ( 이부분에대해서는 시스템의 구성에 맞춰 구성해야 하므로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설치하고난 뒤 웹으로 접속하여 사용 될 프로젝트는 호라이즌 프로젝트입니다.
아래는 호라이즌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는 웹 인터페이스 입니다.
첫번째 이미지에서 Workload provisioning 란은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저부분은 아직 이해하지 못하였고 제가 필요한 서비스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제가 현재 필요한 부분이 아닌곳은 내용이 빠져있습니다.
컨트롤러 노드.
컨트롤러노드에는 Horizon,Glanace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Horizon은 웹인터페이스에서 각종 서비스들을 컨트롤 할 수있습니다.
Glance 는 이미지를 저장 하고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컴퓨트 노드.
컴퓨트 노드에는 Nova,Zun,IRONIC이있습니다.
제가쓸 서비스는Nova 서비스이며 이것을 이용하여 가상컴퓨터등을 만들 수있습니다.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노드는 Neutron을 설치 할 예정이며 이것은 네트워킹 서비스에를 할 수 있는 프로젝트로 이해하시면됩니다.오픈스택내에서 사용할 가상스위치를 생성하고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